답변 엔진 최적화(AEO)는 SEO와 어떻게 다를까?

SEO만으로 AI 챗봇에서 잘 노출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의견은 반으로 나뉘는데요. 한쪽은 LLM 최적화는 완전히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다른 쪽은 기존의 SEO만으로 충분하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논쟁 속에서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AEO(Answer Engine Opitmization) 같은 새로운 약어가 생겼습니다.
오늘은 SEO와 AEO/GEO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금 따라야 하는 전략에 대해 소개합니다.
SEO vs. GEO/AEO: 겉으론 비슷하지만 실제론 다르다
오가닉 검색 트래픽과 AI 챗봇 가시성을 신용카드, 이어버드, CRM, 핸드백 4가지 제품 카테고리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통해 SEO와 GEO/AEO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GEO/AEO와 SEO가 완전히 같다면, 오가닉 검색에서 상위권인 사이트들이 ChatGPT에서도 가장 많이 인용되어야 합니다. 물론 그런 경우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신용카드
오가닉 클릭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chase.com | 660만 | 13.6% |
reddit.com | 520만 | 0% |
capitalone.com | 410만 | 10.3% |
citibankonline.com | 320만 | 4.4% |
comenity.net | 290만 | 0% |
ChatGPT 가시성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google.com | 33.7만 | 20.3% |
paypal.com | 20.9만 | 19.7% |
americanexpress.com | 130만 | 16.9% |
visa.com | 11.6만 | 15.7% |
chase.com | 660만 | 13.6% |
핸드백
오가닉 클릭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reddit.com | 24.1만 | 0% |
youtube.com | 15.2만 | 5.3% |
amazon.com | 7.7만 | 9.8% |
nordstrom.com | 5.1만 | 0% |
coach.com | 4.8만 | 6.1% |
ChatGPT 가시성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target.com | 7천 | 24.2% |
instagram.com | 7천 | 13.8% |
louisvuitton.com | 2.7만 | 10.0% |
gucci.com | 1.5만 | 9.9% |
amazon.com | 7.7만 | 9.8% |
이어버드
오가닉 클릭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reddit.com | 120만 | 0% |
youtube.com | 86.8만 | 7.1% |
cnet.com | 51.2만 | 0% |
amazon.com | 47.4만 | 15.1% |
bose.com | 40.7만 | 10.2% |
ChatGPT 가시성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apple.com | 15.2만 | 16.8% |
amazon.com | 47.4만 | 15.1% |
bose.com | 40.7만 | 10.2% |
wired.com | 12만 | 9.5% |
google.com | 3.1만 | 9.5% |
CRM
오가닉 클릭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zoho.com | 31.4만 | 8.7% |
salesforce.com | 22.5만 | 33.8% |
sfgcrm.com | 18.8만 | 0% |
yahoo.com | 17.9만 | 0% |
youtube.com | 16.7만 | 4.1% |
ChatGPT 가시성이 높은 브랜드 Top 5

도메인 | 오가닉 클릭 | ChatGPT 가시성 |
---|---|---|
salesforce.com | 22.5만 | 33.8% |
google.com | 3만 | 25.8% |
hubspot.com | 10.4만 | 22.5% |
linkedin.com | 3.6만 | 20.7% |
facebook.com | 7천 | 10.1% |
이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나타냅니다. 검색 상위에 있는 도메인이라고 해서 ChatGPT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도메인 단위에서 보면 ‘SEO만 잘하면 LLM에서도 잘 노출된다’는 가설은 성립하기 어렵습니다.
오가닉 클릭수와 ChatGPT 언급 빈도 간의 전반적인 관계를 살펴보면, 그 사이에는 훨씬 더 복합적이고 미묘한 패턴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업종에서는 SEO 최적화만으로도 LLM 가시성 확보에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다른 업종에서도 동일한 전략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어버드와 CRM 분야는 검색 클릭수와 ChatGPT 언급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신용카드와 핸드백 분야에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다시 말해 상관관계가 낮은 카테고리에서는 기존 SEO 전략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으며, 오히려 LLM 최적화를 통해 더 큰 기회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카테고리가 LLM 최적화 대상이 될 수 있을까?
그 차이를 결정짓는 정확한 기준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광고비 지출
- 제품 사양
- 리뷰
- 개발자 문서
- 규제 문구
하지만 결국, AI 노출과 검색 결과 간의 연관성이 높거나 낮은 제품군을 정확히 구분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 카테고리는 단순한 상관관계 외에도 ‘승자 독식’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CRM 카테고리에서는 Salesforce, Hubspot, Google 세 개의 브랜드가 ChatGPT 가시성의 절반을 차지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시장 점유율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CRM 시장은 이미 Salesforce, Hubspot, Google이 지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카테고리가 세분화되어 있을수록 ChatGPT 가시성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흥 산업이나 경쟁이 아직 치열하지 않은 제품군에 속한 브랜드에게는 유리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이미 소수의 브랜드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카테고리에서는 LLM 가시성을 높이기가 훨씬 더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해당 분야에 이미 방대한 콘텐츠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카테고리에 따라 그에 맞는 전략을 설계해야 합니다.
SEO와 GEO/AEO의 가장 큰 차이점은?
SEO와 AEO/GEO가 공유하는 핵심 요소
- 기술적 접근성
두 방식 모두 콘텐츠가 크롤링되고 색인 생성이 가능해야 합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두 경우 모두 장애 요소가 되며, 특히 LLM 크롤러에겐 더 큰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품질
포괄적이고 정확한 고품질 콘텐츠는 SEO와 AEO 모두에서 좋은 성과를 냅니다. - 신뢰 신호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전문성과 신뢰성을 나타내는 외부 신호(링크, 언급, 리뷰 등)는 두 방식 모두에서 핵심입니다.
SEO와 AEO/GEO의 차이점
- 사용자 의도와 질문 방식
AI 챗봇은 더 길고 복잡한 프롬프트(질문)와 그 안에 담긴 세부적인 의도까지 파악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복합적인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콘텐츠가 중요해집니다.
(구글도 AI Overviews를 통해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짧은 질의를 중심으로 작동합니다.) - 랭킹 요소와 가중치
AI 챗봇은 브랜드 인기와 언급량에 훨씬 큰 비중을 둡니다. 반면 구글은 사용자 행동 기반 신호(클릭 패턴, 체류 시간, 검색 복귀율 등)를 더 정교하게 반영합니다. - 콘텐츠 품질 및 안전성 기준
구글은 YMYL(Your Money Your Life) 콘텐츠에 대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있지만, LLM은 아직까지 스팸 탐지 및 품질 필터링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 리치 결과 처리 방식
구글은 다양한 SERP 구성요소를 통해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노출합니다. 반면 ChatGPT는 지도와 동영상 등 일부 유형에만 리치 포맷을 지원합니다.
앞으로의 전략은?
SEO와 GEO/AEO는 작동 방식이 다르지만, 공통된 최적화 원칙을 공유합니다.
- 더 나은 콘텐츠 제작
- 고유한 시각과 인사이트 제공
- 브랜드 인지도 강화
- 사이트가 정확히 크롤링 및 인덱싱되도록 설정
실질적인 차이는 어떤 콘텐츠 카테고리에 집중할지, 어디에 자원을 얼마나 배분할지에 있습니다. 완전히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언제,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AI와 챗봇은 지금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고, 검색 환경 역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정 업종의 경우, 오가닉 검색 클릭 수와 AI 가시성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만큼 차별화된 전략으로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이미 SEO가 잘 되어 있는 업종이라면 SEO와 LLM 기반 AI 환경 모두에서 일정 수준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